2013년 비영리섹터의 큰 변화들, 그리고 데이터
벌써 2013년의 1분기가 끝나가고 있네요. 그동안 해외에서는 비영리 섹터를 둘러싼 동향와 2013년 전망에 대한 글들이 많이 쏟아져 나왔는데요, 관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체로 짚고 있는 핵심 요소들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오늘은 미국의 Foundation Center와 European Foundation Center의 공동 프로젝트인 GrantCraft(http://www.grantcraft.org)에서 발간한 <PHILANTHROPY AND THE SOCIAL ECONOMY: BLUEPRINT 2013> 글을 소개해드리는데요, 이 글도 향후 전망과 관련해서 다른 아티클들과 비슷한 이슈들을 다루고 있지만 보다 구체적인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어 이번 포스팅에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먼저 이 글의 저자 Lucy Bernholz은 비영리 섹터에서 일어나고 있는 큰 변화들을 세 가지 꼽고 있습니다.
1. 재단들의 데이터를 향한 큰 움직임
많은 비영리 조직들이 데이터 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요, 정보 공유에 대한 비영리 섹터의 태도가 상당히 변화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이제는 단순히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하고 데이터 간 관계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Lucy Bernholz는 성공적인 조직의 조건으로 세 가지를 짚고 있습니다. 하나. 데이터의 맥락 속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잘 사용하는 조직, 둘. 데이터의 흐름, 분석, 배움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전문가를 고용하는 조직, 셋. 다른 섹터나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해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조직. Lucy Bernholz는 데이터가 '비영리단체의 힘을 강화하고 재분배하는 도구'임을 강조합니다. 데이터와 관련된 사례들은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 모바일 기부와 네트워크 액션
모바일이 가져온 혁명적인 변화들 중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모바일 결제'입니다. 앞으로 점점 물건을 사기 위해 '지갑' 대신 '모바일'을 여는 일이 많아질텐데요, 액수는 작더라도 모바일을 통한 기부가 더 자주 일어날 것으로 예측됩니다. 또한 프리랜스 Do-gooders들이 등장하는데요, 핸드폰과 앱만 있다면 누구든지 돈을 모으고 그것을 추적하고 웹사이트를 통해 기부자들에게 보고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기술의 변화는 단체들에게 무거운 짐이었던 사업 보고와 정산을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3. 개인정보 보호와 투명성 사이의 긴장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점점 더 높아지면서 비영리 조직의 투명성에 대한 요구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와 정보 투명성에 대한 의견은 여전히 분분하며, 앞으로 개인 정보를 어떻게 수집, 사용, 저장, 공유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을 잘 만드는 것이 과제입니다. 데이터는 돈과는 달리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사용과 동시에 더 많은 새로운 데이터를 창출합니다. 하지만 데이터가 점점 증가하고 중요해지는 반면 자선 분야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데 있어 사익과 공익의 원칙을 세우고 적용하는 데 아직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앞으로 데이터의 보호와 소유권, 투명성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높아지겠죠?
이 글에서 Lucy Bernholz는 특히 1번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는데요, 여기서 몇 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GuideStar와 Nonprofit Finance Fund는 협력하여 'Financial Scan'이라는 툴을 개발했는데요, 유용한 데이터 분석 툴의 좋은 사례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Financial Scan은 조직의 재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한 눈에 살펴보고 미션 수행을 위한 의사결정을 돕는 툴입니다. 비영리 조직의 재정과 관련된 스토리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커뮤니케이션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쓰일 것 같습니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샘플 리포트(보기)가 있는데요, 조직의 재정과 관련된 히스토리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고 향후에 고려해야 할 지점들을 잘 짚고 있네요.
2. 550여개의 재단을 회원으로 하는 미국의 Foundation Center는 최근 미국에서 가장 큰 재단 15개와 협약을 진행, 자선 활동에 대한 정보를 최소한 분기에 한 번씩 공개하고 업데이트하도록 서약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들은 동일한 양식으로 정보를 공개하고 있는데, 이로써 재단 간의 비교 분석이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Foundation Center는 최근 IssueLab(http://www.issuelab.org)이라는 사이트를 다시 런칭하고 재단과 비영리들이 수행한 모든 리서치 결과들을 분류, 공유, 저장하기 위한 작업에 나서고 있습니다.
3. Urban institute는 PerformWell(http://www.performwell.org)이라는 플랫폼을 런칭했는데요, 비영리전문가가 성과 향상을 위해 실질적인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시민사회, 건강, 환경, 교육 등의 분야에서 진행된 리서치, 평가 툴들을 모아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성과 관리를 평가하고 데이터를 수집해서 분석할 수 있는 사이트네요. 각 영역에 활용할만한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나 지표들이 공개되어 있어 참고하면 좋을 듯 하네요.
4. 데이터 관련 과학자들이 런칭한 DataKind(http://datakind.org)는 비영리단체들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 툴을 제공하고 있고, Socialcoding4good(http://socialcoding4good.org)는 재해, 인권, 교육과 같은 스케일이 큰 글로벌 이슈와 관련하여 비영리단체들이 활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5. Hewlett 재단은 최근 재단의 자선 활동을 Periscpoe라는 데이터 툴을 활용해 새로운 방식으로 공개했는데요( http://www.hewlett.org/grants-tool/index), 수치와 그래프를 통해 재단이 얼마나 모금을 했고 배분을 했는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Hewlett 재단은 이 툴을 다른 재단들도 활용할 수 있도록 무료로 공개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참 흥미로운 아이템이니 꼭 한 번 들어가서 보시길..
지금까지 비영리조직들의 데이터와 관련된 몇 가지 사례들을 살펴봤는데요, 최근의 동향을 보면 확실히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하고 잘 보여줄 것이냐가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사례들은 단지 정보를 공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원자료를 그대로 공개하여 공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한 단계 더 뛰어넘은 사례들로 볼 수 있는데요, 앞으로는 지역사회 조직과 기부자들이 데이터와 툴을 사용, 공유, 비교 및 대조하는 흐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남아있는 과제입니다. 국내에서는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흐름들이 아직 많이 형성되어 있지는 않은데요, 앞으로 데이터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면서 다양한 사례들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 이 글은 NPO 활동가들의 스터디 모임에서 환경재단의 윤다정 간사님이 <PHILANTHROPY AND THE SOCIAL ECONOMY: BLUEPRINT 2013> 내용을 번역발췌한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감사한 마음을 전하며...:)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비영리단체의 건강한 운영과 자립을 지속적으로 돕는 <변화의 씨앗기금>에 기부하는 건 어떨까요.
삼삼한 컷트핏 연구교육│신혜정 |
|